1)도입:시각적 퀴어
2)가시적 트랜지션
3)프로이드의 신체, 라캉의 신체
4)나는 누구에게 보여지고 있는것인가?
5)거울을 횡단하는 시도
6)패스와 패러독스
참고문헌
*Judith Butler, Gender Trouble: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
-- Bodies That Matter: On the Discursive Limits of Sex
*Jay Prosser, Second Skins Sigmund Freud, The Ego and the Id
-- ‘Mourning and Melancholia
*Jacques Lacan, ‘The mirror stage as formative of the function of the I as revealed in psychoanalytic experience’
*Kaja Silverman, Acoustic Mirror: The Female Voice in Psychoanalysis and Cinema
*Luce Irigaray, This Sex Which Is Not One
*J*Judith Butler, Gender Trouble: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
쥬디스 버틀러, 타케무라 카즈코(竹村和子)역,「젠더 트러블: 페미니즘과 아이덴티티의 곽란」, 세이도샤, 1999
-- Bodies That Matter: On the Discursive Limits of Sex
*Jay Prosser, Second Skins
*Sigmund Freud, The Ego and the Id
프로이드, , 「자아와 에쓰」(나카야마겐(中山元)역, 치쿠마 학예문고)
이외에 오코노기 켄고(小此木啓吾)의 번역본이 있습니다.
-- ‘Mourning and Melancholia’
프로이드,「비애와 멜랑꼴리」(「프로이드 저작집 제6권 자아론/불안본능론」이무라 츠네로(井村恒郎) 역, 진분쇼인, (1970/01))
*Jacques Lacan, ‘The mirror stage as formative of the function of the I as revealed in psychoanalytic experience’
쟈쿠스 라칸, 「<나>의 기능을 형성하는것으로서의 거울단계」,
『에쿠리Ⅰ』、코분도(1972)
*Kaja Silverman, Acoustic Mirror: The Female Voice in Psychoanalysis and Cinema
*Luce Irigaray, This Sex Which Is Not One 류스 이리가레이, 타나사와 나오코(棚沢直子) 외 역, 『하나가 아닌 여자의 성性』케이소우 쇼보, (1987)